육아꿀팁93 아이의 자존감에 상처주는 훈육...부모가 바꿔야 할 훈육인식 4가지 훈육은 아이를 키우는 엄마라면 누구나 한번쯤 고민해봤을 큰 화두이다. 엄마 입장에서는 훈육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아이가 너무 버릇이 없어지진 않을까 걱정되고, 너무 일찍 하게 되면 너무 아이에게 엄격하게 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된다. 여기서는 엄마들의 고민과 아동 심리학자로서 훈육과 관련된 중요 포인트 네 가지를 이야기하고자 한다. 훈육에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 잘못된 방법으로 훈육하지 않기 위해서 제시되는 네 가지를 점검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1.훈육은 감정소비가 아니다. 훈육을 할 때는 부모가 소리를 지르는 행위는 부모의 감정소비, 감정해소에 지나지 않는다. 훈육에 효과가 있을 수 없다. 아이가 반복적으로 말을 안 들어서 욱하는 상황이라면 잠깐 부엌으로 가서 찬물을 한 잔 마시고 정신을 가다듬는다.. 2021. 7. 18. 아이의 숨겨진 진짜 재능 찾기...부모의 바른 역할 5가지 다보스 포럼에서는 "현재 초등학생의 65%는 미래에 현존하지 않는 새로운 직업에 종사할 것이다"라는 내용이 발표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일련의 변화로 우리 아이들이 사회에 나갈 시점에는 창의적이고 공감능력이 뛰어난 새로운 인재가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부터 아이의 재능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재능을 어떠한 분야에서 펼칠 수 있는지에 대한 진로교육이 꼭 필요합니다. 또한 진로교육이 꼭 직업을 찾는 것에 한정될 것이 아니라, 우리 아이가 행복한 삶을 살아갈 역량을 기르는 일이라고 폭넓게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아이가 어떤 분야에 관심을 보일 때에는 아이가 자신의 재능에 대해 부모에게 사인을 보내는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때 적절하게 맞춤식 진로 .. 2021. 7. 17. 아이의 욕구좌절분노.. 부모의 바른 감정케어 6가지 누구나 살다 보면 최소 한 번쯤은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거센 분노를 느껴본 적이 있다. 하지만 어른들은 그러한 분노를 속에서 잘 다스리고 추스르는 방법을 알지만 감정 조절과 표현이 아직 미숙한 어린이들은 발작을 일으킬 정도로 거칠게 분노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분노발작이라고 한다. 아이가 자신의 요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에 나타내는 분노의 폭발적 반응을 말하느데 바닥에 뒹굴어 날뛰거나 울부짖거나, 물건을 던지거나 발로 차거나.. 그러면 분노발작하는 아이들은 어떤 이유로 화를 내는지, 그리고 이럴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1. 이해불가=욕구좌절 울부짖거나 물건을 던지거나 발로 차는 등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 외에도 바닥에 드러누워 사지를 흔들기 등 모두 분노발작에 해당한다. 18개월에서 30개월.. 2021. 7. 14. 규칙에 잘 적응하고 잘 따르는 아이로 키우는 5가지 방법 아이들이 무언가를 해내려는 의지나 책임감 형성을 통해 사회에서 성공하기를 바란다면 어릴때부터 자립하고 끈기와 인내하는 기질을 미리 형성할 필요가 있다. 아이가 마냥 느슨해지고 모든 것을 부모에게 의지하고 기대는 것은 가정에 규칙이 없어서 그럴 경우도 많다.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자기의 할 일을 정하고 행해나가다 보면 책임감과 실천하려는 의지가 강해지게 된다. 그리고 아이에게 규칙과 한계는 안정감을 준다.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이는 부모로부터 통제를 받은 경험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미래에 성공적인 삶을 살게 하려면 규칙을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하고 그것은 가정에서 미리 형성돼야 한다. 미국의 심리학 박사 벤마틴이 말한 그에 따르는 몇가지 원칙이 있는데 1. 규칙 아이에게 이야기해서 충분히 .. 2021. 7. 14.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