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꿀팁93 아이의 질문에 대응하는 부모의 태도에 따라 아이 미래가 결정됩니다. '부모의 질문대응을 늘 지켜보는 우리아이' 아이는 자신의 질문에 대응하는 부모의 태도를 보고 더 중요한 질문을 할지 말지 결정합니다. 즉 질문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따라 어떤 질문이든 상관없이 자신의 모든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듣고 싶은 사람, 언제든 찾아가 의논할 수 있는 상대인지 아닌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질문하는 것은 무언가를 생각하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에 질문 중 하찮고 나쁜 질문이란 있을 수 없음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아이들이 질문을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말로 대답을 듣고 싶을 때, -부모의 관심을 끌고 싶을 때, -시간을 벌고 싶을 때, -엉뚱한 질문을 던져 숨은 의중을 알아보고 싶을 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질문의 이유가 무엇이든, 질문이 어떤 것이든 존중해주어야 한다는 것.. 2022. 7. 12. '부모가 무심코 하는 이런말과 행동이 아이를 망친다.' - 나중에, 나중에, 나중에 엄마가 약속을 계속 미루면 아이는 엄마가 하는 말을 믿지 않고 무시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 “너는 몇 번을 말해야 알아듣니?” 이렇게 말한다고 아이가 잘못을 고치게 될까? 오히려 자기가 부끄럽고 한심한 인간이라는 부정적인 의식만 키운다. 엄마는 같은 말을 계속하게 되고 아이는 주눅이 들어 엄마의 눈치만 보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 망설임 없이 카드 긁는 모습 보여주기 엄마가 돈 쓰는 데 무감각하면 아이 역시 같은 소비 패턴을 갖게 된다. 사고 싶은 욕구를 절제하지 못하고 돈의 가치와 소중함을 모르는 금전적으로 무능력한 아이가 될 수 있다. - 엄마가 나서서 친구 만들어주기 아이가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면 엄마가 나서서 친구를 만들어주려고 한다. 또는 친구가 마음에 안 들면.. 2022. 7. 8. 아이의 행복한 감정만을 취사선택하는 부모들이 주의해야 하는 것들 부모가 아이의 '행복한 감정'만을 취사선택해 양육하는 부모들이 많습니다. 아이가 언제나 행복하게 느끼게 부모가 모든 것을 취사선택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오랜 기간 동안 스스로 모든 감정을 잘 소화해내도록 내면의 힘이 길러주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부모는 처리해주는 것이 아니라 ‘돕는 것’이라고 금쪽 수업에서 오은영 박사가 강조한 내용이 있었는데요.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가 만 이십사개월 미만에는 웬만한 건 다 들어주는 게 맞다고 합니다. 24개월 미만의 아이들이 표현하는 것들은 대개 생존과 생명 유지에 필요한 것들을 많이 표현하기 때문에 대체로 들어줘도 괜찮다는 것입니다. “ 아이는 그 자리에 머물러 있지 않습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아이한테 필요한 것도 달라지고 .. 2022. 4. 16. 밝고 자존감이 높은 아이..부모에게 자주 듣는 말 10가지 1. "나는 네가 좋아" 이 말은 '사랑해'와는 다르다. '나는 너를 한 사람으로서, 한 인격으로서 좋아해' 라는 뜻이다. 부모 자식간 무조건적인 사랑으로 인한 사랑표현이 익숙해질때쯤 좋아한다는 말도 표현해보자. 사랑한다는 말과 좋아한다는 두 가지 말을 같이, 아낌없이 쓰자. 2. "끝까지 잘해내는 구나" 어린아이들은 깜짝 놀랄 만큼 빨리 배운다. 이럴때 똑똑하다는 칭찬보다는 무언가를 아이가 시도하고 도전할 때 끝까지 해낼려고 하는 그 자세를 칭찬해주는 것이 더 좋다. 어렸을 때 이 말을 귀에 못이 박힐 만큼 자주 해 주자. 나중에 커서 배우는 게 어렵고 힘들게 느껴질 때 큰 힘이 될 것이다. 3."고마워" 이 간단한 인사는 상대에 대한 존중의 표현이다. 또한 내가 상대를 위한 한 존재로서의 필요성을 느.. 2022. 4. 15. 이전 1 2 3 4 ··· 24 다음